신하균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하균은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이후에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중국 광화대학을 졸업하고, 한국 광복군에서 복무했다. 해방 후에는 상해시 정부 전문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등을 역임했으며, 민주당, 신민당, 민정당, 민중당 등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다. 1956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3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5대와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었다. 신익희의 아들이며, 궈모뤄의 처제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신하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신하균은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한 신익희의 첫째 아들이다.[1] 아버지는 신익희, 어머니는 이승희(李昇熙)이다. 누이로는 신정완이 있으며, 계모는 김해영이다. 아버지 신익희의 비서였던 신창현은 신하균의 종질이다.[3]
[1]
웹인용
前議員申河均씨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언론재단)
1975-11-10
2. 약력
약력
3. 생애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신익희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대한민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어머니 이승희(李昇熙) 계모 김해영 누이 신정완 부인 최명희(崔明姬) 아들 신기현(1952~) 부인 위리런(于立人) 궈모뤄(郭沫若)의 처제[3] 아들 왕충칭(王重慶) 톈진 대학 화학과 교수 아들 왕지엔핑(王建平) 톈진댐 건설설계원 부원장 아들 왕건명(王建明, 1946년~) [3] 종질 신창현 아버지 신익희의 비서
5. 가계
첫 번째 부인은 최명희(崔明姬)이며 슬하에 아들 신기현(1952~)을 두었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두 번째 부인은 중국의 학자 궈모뤄의 처제 위리런(于立人)이며,[3] 슬하에 맏아들 왕충칭(王重慶, 톈진 대학 화학과 교수), 둘째 아들 왕젠핑(王建平, 톈진댐 건설설계원 부원장), 셋째 아들 왕젠밍(王建明, 1946년~)을 두었다.[2][3]구분 내용 아버지 신익희 어머니 이승희(李昇熙) 누이 신정완 계모 김해영 종질 신창현 첫 번째 부인 최명희(崔明姬) 아들 신기현(1952~) 두 번째 부인 위리런(于立人) 맏아들 왕충칭(王重慶) 둘째 아들 왕젠핑(王建平) 셋째 아들 왕젠밍(王建明, 1946년~)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56년 8.23 재보선 민주당 20,014표 (31.96%) 1위 당선 초선 1958년 총선 민주당 16,497표 (33.29%) 2위 낙선 1960년 총선 무소속 24,098표 (46.63%) 1위 당선 재선 1963년 총선 민정당 28,064표 (43.74%) 1위 당선 3선 1967년 총선 신민당 20,421표 (25.73%) 2위 낙선
참조
[2]
웹인용
신익희의 손자는 중국 '동력대왕'
http://blog.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3-21
[3]
뉴스
해공 신익희의 손자는 중국의 '동력대왕'
http://www.hani.co.k[...]
2001-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